전체 글108 CPU(중앙 처리 장치)와 캐시(cache) 간단히 알아보자 컴퓨터에는 네 가지 핵심 부품이 있다. CPU와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력 및 출력장치이다. 1) CPU의 뜻과 역할 CPU(Central Processing Unit)는 중앙 처리 장치라고 부른다. 컴퓨터가 이해하는 두 가지 정보는 데이터와 명령어로 이루어져있다. 이 두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되어있고,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와 데이터를 가져와서 읽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부품이다. 컴퓨터의 구조에서 CPU는 인간에게 있어서 뇌와 같다. 입력장치로부터 자료를 받아 연산하고 그 결과를 출력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핵심장치인 것이다. 2) CPU는 무엇으로 구성되어있나? ALU(산술/논리 연산 유닛), CU(제어 장치), 여러 레지스터, 캐시로 구성되어있다. - ALU는 산술 및 논리 .. CS, OS, Network 2022. 11. 13. Javascript : 마름모/다이아몬드 별 찍기(for 반복문) 1) for문 학습중에 자주 나오는 문제가 있다. 피라미드형 별찍기. 그리고, 이를 응용한 다이아몬드(혹은 마름모)형 별찍기. 2) 구글에 검색하면 특정 함수를 사용하거나, 절대값을 사용하거나, 나머지를 활용하거나 하는데, 절대값이나 함수를 아직 학습하지 않은 상태에서 초보자들이 문제를 푸는 방법은 다음과 같지 않을까 생각한다. 문장 수를 줄이는 등 코드를 경제적으로 사용하면 좋겠지만 뭐가 어쨌든 배운 것을 토대로 기대하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은 일단 중요하지 않을까? 그래서 원하는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학습과정에서 배웠던 피라미드(삼각형) 별 찍기를 활용하면 된다. 피라미드에 역피라미드를 붙이면 된다. 원하는 마름모의 지름(size)을 6이라고 했을 때. 내가 작성한 코드와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발기초 2022. 11. 9. Javascript : if else 조건문, 홀수 짝수 구분하는 프로그램 작성하기 if else 조건문을 사용하여, 유저에게 숫자를 입력받아 홀짝 구분하는 프로그램 만들기 첫 번째 방식, 비교적 간단한 방식이다. 여기서 다음 문자열은 '입력 받은 숫자 a를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1이다.' 라는 뜻이다. ( a % 2 === 1 ) 두 번째 방식은 length 속성과 논리합 연산자 ||를 활용하였다. - || 는 논리합 연산자로, 짧은 조건문에 사용한다. - 문자열의 length는 문자열에서 문자의 갯수를 반환 한다. - 논리합 연산자 ||는, || 기호를 중심으로 좌변이 참이면 우변을 실행하지 않는다. 좌변(불 표현식) || 우변 ( 불 표현식이 거짓일 때 실행할 문자) 다음 문자열을 주목해볼 때, ${} 이 기호는 왜 들어가는지 궁금할 수 있다. alert(`${입력}은 홀수입.. 개발기초 2022. 11. 2. Javascript : if와 switch 조건문으로 계절을 구분하는 프로그램 작성 혼공스 연습문제 풀어보기 Q. 현재가 몇 월인지 확인하고, 계절을 구분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기 (if 관련 조건문 사용) A. 월별로 시즌을 구분하고 if else if 조건문을 사용하여 값을 입력 받았을 계절이 판별되게 하면 된다. 만약 switch 조건문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개발기초 2022. 11. 2. (내일배움단 완강)개발 학습일지 다섯 번째 : 버킷리스트 / 도메인 연결하고 배포하기 5주차는 서버 구매하고, 도메인과 연결하는 것이다보니, 2/3/4 주차보다 좀 수월하게 끝이 난듯. 그동안 숙제로 만들었던 팬명록 웹페이지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도메인을 구입하여, 도메인에 연결하는 것으로 내일배움단 웹개발 풀스텍 강의가 끝났다. 강의를 따라가면서 직접 웹사이트를 나름대로 만들어보고, 서버와 연결하여 도메인을 배포하는 경험까지 전체해보니, 좀 자신감이 붙는다. 곧 있을 4개월 간의 내일배움캠프에서도 많은 배움이 있을듯하다. http://vicnode.shop/ 개발 학습일지(TIL) 2022. 10. 28. 개발 학습일지 네번째 : API 만들고 클라이언트와 연결 GET : 가져오는 POST : 수행하는 것 MongoDB 서버와 연결을 해보았다. 아직 헷갈리는데 몇 번 더 작성해보면 많이 익숙해질듯. 첫번째 팬명록 작업물에 실제 포스팅 기능 추가했다. 개발 학습일지(TIL) 2022. 10. 26. HTML 기초 : 태그, 요소 HTML의 기초 요소, 태그 요소(Element)는 각 태그 안에 있는 명칭으로, html 문서를 구성하는 명령어이다. 보통 태그(Tag) / 값(Values) / 속성명(Attribute) / 속성값(Attribute Value)으로 구분된다. 태그(Tag) - 태그의 역할은 HTML 문서의 뼈대를 구성하는데 있다. 다음을 태그라고 한다. 태그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 세부적으로, 앞의 은 여는태그 뒤편의 이 닫는 태그이다. - - 참고 문서 https://dasima.xyz/html-elements/ 개발기초 2022. 10. 25. 개발 학습일지 세 번째 : 파이썬과 크롤링 개발 학습일지(TIL) 2022. 10. 24. Jquery에서 id, class로 접근하는 방법 https://breakpoint.tistory.com/85 [# jQuery #] id, name, class로 접근방법 [# jQuery #] id, name, class로 접근방법 jQuery로 id 접근시 $(“#id”), ex) $(“#header_area”) class로 접근시 $(“.class”), ex) $(“.section_nav”) name으로 접근시 $(tag_name[name=name]), ex) $(“i.. breakpoint.tistory.com $('#id') 개발기초 2022. 10. 23. 개발 학습일지 2번째 - JQuery와 Ajax 학습 1. 본격적으로 javascript로 들어가면서, 수업 진도가 안 나가기 시작한다. 특히 JQuery 다루기, Ajax 연습부터 엄청 막히는데, 자바스크립트 배우다가 갑자기 이건 또 왜 배우나 싶은 의문이 드는채로, 수업을 따라갔다. 낯선 것들이 계속 튀어나오니까 공부하는 게 쉽지 않았다. 내가 강의를 대충보다가 놓쳤나, 생활코딩을 제대로 안 보고 시작해서 그런건가? 의문이 들어서 수업 듣다가 그만두고, 구글링을 하길 반복해야 했다. 남들 진도 막 빼는 시간에, 나는 기초적인 것을 배우느라 잘 나아가질 못해서 불안하기도 했는데, 의문이 들었던 것들 하나하나씩 찾아가면서 이해하고 나니까 이전 보다 훨씬 마음이 편안하다. 2. JQuery는 라이브러리로, 자바스크립트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단순화 시킨.. 개발 학습일지(TIL) 2022. 10. 22. Javascript 백틱 (backtick) 쓰는 이유 [간단 설명] ` 백틱은 왜 쓰는 가? ` 백틱의 기능은 무엇인가? 크게 두 가지인데, 2번의 쓰임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것 같다. 1. 줄바꿈을 할 수 있다. 행을 편리하게 넘길 수 있다. 2. 사용하면, 문자열 안에도 표현식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반복 작업할 일을 줄여준다. 경제적이다! 문자열과 변수를 연결할 때, 1) 백틱 비사용 : '문자' + 변수 + '문자' --> 문자와 변수 사이에 작은 따옴표 ' 와 + 가 반복적으로 들어간다. 2) 백틱 사용 : `문자 $(변수) 문자` --> 굳이 ' '와 +를 반복해서 붙이지 않아도 된다. 백틱을 사용하면, 문자열 중간에 변수를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다. Javascript 를 배우면서 코드를 작성할 때, 처음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내가 기대했던 대로 페이지가 작.. 개발기초 2022. 10. 22. 첫! 개발 학습일지, 언어 학습에 대한 단상 1. 강의 경험 훌륭한 개발자는 혼자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런데 막상, 처음 배우는 입장에서 어떤 페이지를 만들기 위하여 무엇부터 시작하면 좋을지 좀 막막한 점이 있다. 강의를 따라가다보니, 개발을 배워나가기 위하여 무엇을 채워나가면 될지, 또 어떤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무엇을 하면 좋을지 알게 되는 것 같다. 2. 원리 이해 VS 반복 학습, 무엇이 우선일까? 또 한 가지 알게 된 점은, 개발 언어는 일상의 회화에서 사용하는 언어들의 학습에서 유사한 점이 있는 것 같다. 학습에 있어서 무언가 어렵게 느껴진다면, 그것은 아직 익숙하지 않은 탓이라고 생각한다. 즉, 언어 문법을 익히는데 있어서, 왜 그런 문법(규칙)이 정해져있는지 원리를 아는 것은 나중 문제라고 본다는 말이다... 개발 학습일지(TIL) 2022. 10. 20. 이전 1 ···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