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2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덱스란? 왜 필요한가?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덱스(Index)란? 왜 필요 할까? 두꺼운 책의 맨 앞에 목차가 기재되어 있으면 내가 원하는 내용을 더 빨리 탐색할 수 있다. 반대로 목차가 없으면 두꺼운 책 내용 중에 어떤 내용을 어디에서 찾을지 모르기 때문에 전체를 다 탐색해야 한다. 시간과 에너지가 많이 든다. 이 때문에 어떤 순서대로 정렬된 목록(색인)의 필요성을 느낀다. DB에서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 인덱스이다. - 즉,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빠르게 찾아낼 수 있도록 돕는 자료구조이다. - 데이터를 찾기 위한 '색인'으로 데이터의 주소록이라고 부를 수 있다. - 인덱스가 있으면 전체 Pull Scan 할 필요없다. 인덱스의 구성 - 인덱스는 키(key)와 포인터들로 구성되어있다. - DB에서 추출한 일부 .. 개발기초 2023. 5. 10. 데이터베이스와 ORM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고, 수정하고, 삭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특정 조직이나 개인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검색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데이터베이스는 일반적으로 테이블(table)로 구성되며, 각 테이블은 열(column)과 행(row)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작업을 통해 관리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용자의 동시 액세스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성 제어 기능도 제공하여, 데이터의 일관성 및 무결성을 보장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사용하여 관리된다. DBMS는.. 개발기초 2023. 4.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