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K stack의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중에
ElasticSearch와 Kibana의 라이선스가 2024년 09월 업데이트되었다.
8.16 버전 부터 다음 라이선스가 적용된다.
Logstash: Apache 2.0
ElasticSearch와 Kibana: Elastic License 2.0(ELv2) + SSPL + AGPL-3.0
개발자는 즉 3개 라이선스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이 라이선스에 따르는 의무를 지켜야 한다.
최근 추가된 AGPL 3.0은 이미 Grafana, MinIo에 적용되는 라이선스로,
(여전히 Apache 2.0과 같은 오픈소스가 아니라는 비판은 있지만) Elastic 재단은 다시 오픈소스화 되었다고 강조한다.
Elastic License 2.0 (ELv2):
- 상업적 관리형 서비스로의 제공은 금지
- 내부 사용 및 비상업적 목적의 사용에는 제한이 없다.
- 소스 코드 공개 의무는 없다.
SSPL
- 기본 개념: SSPL은 AGPL 3.0을 기반으로 MongoDB가 만든 라이선스로, SaaS(Software as a Service) 모델을 명확히 규정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 적용 범위:
- SSPL은 네트워크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경우, 단순히 소프트웨어 자체뿐만 아니라 해당 서비스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예: 관리 소프트웨어, 백업 도구, 호스팅 소프트웨어 등)의 소스 코드도 공개하도록 요구한다.
- 이는 서비스 전체의 "서비스 소스 코드(Service Source Code)"를 포함하며, 서비스가 작동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공개해야 해야한다.
- 소스 코드 공개 의무:
- SSPL은 단순히 AGPL처럼 프로그램 자체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 모든 관련 소프트웨어까지 포함하여 공개해야 한다.
- 예를 들어, SSPL로 라이선스된 데이터베이스를 SaaS 형태로 제공하려면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이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관리 인터페이스나 자동화 도구 등의 소스 코드도 공개해야 한다.
AGPL 3.0
- 기본 개념: AGPL 3.0은 GPL 3.0에 "원격 네트워크 상호작용(Remote Network Interaction)" 조항을 추가한 라이선스
- 적용 범위:
- 소프트웨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경우, 수정된 소스 코드(또는 파생 작업물)를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공개 의무 발생
- 이 조항은 소프트웨어 자체(즉, AGPL로 라이선스된 프로그램 또는 수정된 버전)에만 적용된다.
- 소스 코드 공개 의무:
- 네트워크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다면, 해당 소프트웨어의 수정된 소스 코드를 공개해야 하지만, 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다른 소프트웨어(예: 관리 도구, API 등)는 공개할 필요가 없다
결론(라이선스 법률 전문가 검토 필요)
*AGPL 3.0 Section 13
이 라이선스가 적용된 SW를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비스할 때,
SW 상에 수정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SW 사용자는 수정된 버전의 소스 코드를 요청할 권리가 발생한다.
반대로 말하면,
1) 수정사항이 발생하지 않으면 소스코드 공개의무가 없다.
2) 수정사항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요청할 경우에만' 소스코드 공개 의무가 있다. 소스코드를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할 필요는 없다.
사용사례: Kibana 사용시
1) 도커 이미지 등의 소스코드에 대해 수정을 전혀 하지 않고 사용할 때 소스코드 공개 부담이 사라진다.
2) 수정하더라도, Kibana 사용자가 소스코드를 봐도 상관없는 관리자로만 제한한다면 소스코드 공개 부담에서 자유로워진다.
'개발 학습일지(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select box - API 호출로 option 조회시, placeholder 초기화 문제 (0) | 2024.06.21 |
---|---|
[카프카, 주키퍼] apache Kafka 설치 및 실행 방법 정리(윈도우11, Nestjs) (0) | 2024.05.22 |
nextjs / swagger-ui-react / Node.js 버전 호환 에러 : Class extends... (1) | 2024.03.15 |
AWS S3 - CloudFront 빠른 설정 방법 (+access denied 해결) (0) | 2024.02.13 |
vs code 내 터미널에서 한글 입력 시 씹힘(?) 발생 오류 (0) | 2024.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