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학습일지(TIL)

TIL : Docker image pulll 및 run, Nginx 웹서버 구축

Veams 2023. 9. 3.
https://veams.tistory.com/119
 

TIL : Azure 클라우드에서 Linux 대여 후, 우분투에 도커 설치

개요 리눅스 및 도커를 활용한 개발 실습을 하려고 합니다. 백엔드 개발자이니, 리눅스나 기타 인프라 환경에 더 익숙해질 필요를 느낍니다. 문제가 있습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저의 로컬 환

veams.tistory.com

이전에 Azure를 통해 만든 가상머신에 docker를 설치했습니다.

이제 docker에 image를 pull 받아보고 실행해보려고 합니다.

 

1. Image? container?

docker에서 image는 마치 프로그램에 해당합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세스가 되듯 docker에서 image를 run하면 container가 됩니다.

실행되면 container는 Host의 자원을 이용합니다.

 

image는 docker hub에서 제공합니다.

docker hub는 마치 안드로이드의 play store, 애플의 app store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2. 보유 중인 Image 현황 확인

리눅스 환경에서는 docker 명령어 앞에 sudo를 입력해야 작동합니다.

 

sudo docker images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보유하고 있는 image 목록을 보여줍니다.

sudo docker images 

 

3. Image Search  : Docker Hub에서 pull 받고 싶은 이미지 목록 검색

웹서버인 nginx를 docker hub에서 검색해봅니다.

sudo docker search nginx

 

4. Image pull :  Docker Hub에서 Nginx 설치하기

sudo docker pull nginx:latest

최신버전을 받기 위해 명령어 마지막에 :lateset를 추가 입력했습니다.

 

image 목록을 확인해보니 잘 설치됐습니다.

목록에 nginx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Docker Container : Nginx 웹서버 실행 

설치한 nginx를 run 하면 Container가 구성됩니다.

sudo docker run -d -p 80:80 nginx

nifty_antonelli이라는 이름으로 nginx가 컨테이너로 실행되었습니다.

 

컨테이너로 실행시 옵션으로 이름을 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name webserver를 중간에 추가하면 webserver 이름으로 컨테이너가 실행됩니다.

docker run -d --name webserver -p 80:80 nginx

 

6. 성공적인 웹서버 접속

Azure 가상머신의 공용 IP를 웹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Nginx 웹서버로 연결됩니다.

연결 지연 등의 문제로 접속이 불가능하다면 해당 포트에 대한 인바운드 규칙을 추가 및 수정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댓글